안녕하세요. 요즘 경기도재난기본소득때문에 건강보험료를 조회하시는 분들이 부쩍 늘었습니다. 건강보험료 확인은 사실 연말정산 외에는 잘 사용하지 않아 생소하신 분들이 많을 텐데요, 일단 건강보험료는 동사무소가 아닌 건강보험공단으로 가셔서 민원처리를 보셔야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번거로운 과정 없이 인터넷으로도 조회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건강보험료 기준표
건강보험료 확인하는 법을 알려드리기 이전에 지난 4월 3일 발표한 정부의 긴급재난지원금은 2020년 3월 건강보험료 기준으로 소득 70% 이하의 가구에 지급됩니다. 직장가입자 기준 3월에 지불한 보험료 기준으로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가구원수와 직장, 지역가입자에 따라 기준이 다르니 제가 첨부한 표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건강보험료 확인하는 방법
건강보험료는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여기를 누르시면 바로 이동합니다.)에서 조회가 가능합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건강보험료 조회를 클릭하신 뒤, 아래의 공인인증서 본인인증을 통해 건강보험료를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공인인증서가 없으신 분들은 먼저 공인인증서 발급 후에 진행해주시길 바랍니다.
공인인증서 본인인증까지 마치셨다면, 건강보험료 확인은 다음 메뉴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직장가입자 - 월급명세서 / 지역가입자 - 건강보험 납입고지서
건강보험료 자주하는 문의
Q. 건강보험에서 적용하는 종합소득의 종류는?
- 건강보험료에 적용되는 종합소득의 소득종류는 이자소득, 배당소득, 사업소득, 근로소득, 연금소득, 기타소득으로 이중 연금소득을 제외한 종합소득은 국세청에 신고한 내용을 기준으로 건강보험료에 반영함.
Q. 지급되는 가구 단위 수?
- 2020년 3월 29일 기준, 세대별 주민등록표에 등재되어있는 사람 기준.
Q. 배우자와 자녀의 주소지가 다른 경우?
- 건강보험 가입자의 피부양자로 등록이 되어있는 경우, 주소지가 달라도 동일 가구로 취급함.
Q. 대학원 이하 재학중인데 별도세대를 구성해 단독 세대주이면 보험료를 내야 하나요?
- 학업을 목적으로 부모님과 별도세대를 구성하고 있는 경우에 건강보험증 추가증을 발급받으실 수가 있습니다.(단, 학업 목적이 아닌 경우 제외)
건강보험공단 전화번호
건강보험공단의 전화번호는 지역 상관없이 '1577 - 1000'입니다.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