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요즘 경기도재난기본소득때문에 건강보험료를 조회하시는 분들이 부쩍 늘었습니다. 건강보험료 확인은 사실 연말정산 외에는 잘 사용하지 않아 생소하신 분들이 많을 텐데요, 일단 건강보험료는 동사무소가 아닌 건강보험공단으로 가셔서 민원처리를 보셔야 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번거로운 과정 없이 인터넷으로도 조회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건강보험료 기준표

건강보험료 확인하는 법을 알려드리기 이전에 지난 4월 3일 발표한 정부의 긴급재난지원금은 2020년 3월 건강보험료 기준으로 소득 70% 이하의 가구에 지급됩니다. 직장가입자 기준 3월에 지불한 보험료 기준으로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가구원수와 직장, 지역가입자에 따라 기준이 다르니 제가 첨부한 표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건강보험료 소득 70% 기준표

 

건강보험료 확인하는 방법

건강보험료는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여기를 누르시면 바로 이동합니다.)에서 조회가 가능합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건강보험료 조회를 클릭하신 뒤, 아래의 공인인증서 본인인증을 통해 건강보험료를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공인인증서가 없으신 분들은 먼저 공인인증서 발급 후에 진행해주시길 바랍니다.

 

 

국민건강보험

 

www.nhis.or.kr

 

 

공인인증서 본인인증까지 마치셨다면, 건강보험료 확인은 다음 메뉴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직장가입자 - 월급명세서 / 지역가입자 - 건강보험 납입고지서

 

건강보험료 자주하는 문의

Q. 건강보험에서 적용하는 종합소득의 종류는?

- 건강보험료에 적용되는 종합소득의 소득종류는 이자소득, 배당소득, 사업소득, 근로소득, 연금소득, 기타소득으로 이중 연금소득을 제외한 종합소득은 국세청에 신고한 내용을 기준으로 건강보험료에 반영함.

 

Q. 지급되는 가구 단위 수?

- 2020년 3월 29일 기준, 세대별 주민등록표에 등재되어있는 사람 기준.

 

Q. 배우자와 자녀의 주소지가 다른 경우?

- 건강보험 가입자의 피부양자로 등록이 되어있는 경우, 주소지가 달라도 동일 가구로 취급함.

 

Q. 대학원 이하 재학중인데 별도세대를 구성해 단독 세대주이면 보험료를 내야 하나요?

- 학업을 목적으로 부모님과 별도세대를 구성하고 있는 경우에 건강보험증 추가증을 발급받으실 수가 있습니다.(단, 학업 목적이 아닌 경우 제외)

건강보험공단 전화번호

건강보험공단의 전화번호는 지역 상관없이 '1577 - 1000'입니다.

반응형